인플레이션 뜻 원인 영향 스태그플레이션 간단 정리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수입은 제자리인데 꾸준히 물가가 오르면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현금 보유자는 손해를 보게 되고 상대적으로 부동산, 토지 등의 실물 가치는 상승하게 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급격한 금리인상과 부동산 거래 실종까지 겹쳐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입니다. 경제에 대한 걱정이 커지는 요즘 많이 거론되는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원인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일반적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국민경제 전체로 볼 때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크면 물가가 상승합니다.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통화공급량 증가, 소득의 증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과도한 통화량 증가입니다. 시중에 돈이 풍부해지면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데 동시에 그만큼의 상품 공급이 늘어나지 않으면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임금이나 원자재 가격 등 상품의 생산비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인상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철판의 생산 원가가 인상되어 판매 가격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철판은 여러 상품 제조에 꼭 필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자동차, 각종 전자제품, 아파트 등 주택의 가격까지 모두 올라가게 됩니다. 특히 국제 유가가 급격하게 상승한다면 원유 수입 비용이 커져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인플레이션을 가속화됩니다.
(3) 독과점 기업이 상품의 가격을 올린 것이 원인일 경우 관리 가격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과도한 임금 인상, 자연재해로 인한 농산물 가격 인상, 환율 상승 등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2. 영향
인플레이션은 보통의 직장인이나 연금생활자와 같이 매 월 수입이 일정한 사람들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키므로 생활을 어렵게 만들며 실질소득의 감소는 구매력의 감소로 이어지고 아래와 같이 경제 전체의 성장을 저해하게 됩니다.
(1)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현금을 보유한 사람은 손해를 보게 되고 상대적으로 실물가치는 상승하므로 부동산 등 실물을 가진 사람은 이익을 보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부유한 사람들이 실물 자산을 많이 가지고 있고 저소득층에 월급생활자가 많으므로 빈부 격차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돈을 빌린 채무자는 갚아야 할 돈의 가치가 떨어져 이익이고 빌려준 채권자는 손해를 보게 되는 입장입니다.
(2)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여 그것을 수출할 때 가격이 높아지므로 다른 나라들과의 경쟁에서 불리하게 되어, 수출품에 대한 외국인들의 수요는 감소하는데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입품에 대한 내국인들의 수요가 증가하므로 국제 수지가 악화됩니다.
(3) 금융 자산보다 실물 자산을 갖는 것이 더 유리하므로 저축은 감소하고 부동산 투기가 증가하여 경제의 건전한 성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3. 스태그플레이션
일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 물가 상승도 둔화되고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도 오르지만 불경기인데도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stagnation 과 inflation 의 합성어입니다. 예를 들어 수입 원유나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생산 비용이 커져 제품 가격이 오르지만 기업의 이익은 늘어나지 않아 직원들의 월급을 올려줄 수 없고 결국 가계는 소비를 줄이며 기업의 제품은 덜 팔리게 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집니다.
'뉴스,이슈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발급 보는 법 이것 모르는데 계약? (0) | 2022.10.07 |
---|---|
스마트 온비드 앱 공매 2030 재테크 (0) | 2022.09.04 |
부린이 온비드 공매 경매 절차 차이점 장점 간단 정리 (0) | 2022.08.26 |
부동산 시세 매매 앱 실거래가 조회 어플 알면 나도 전문가 (1) | 2022.08.25 |
전세 구하기 계약 등기부등본 임차인 주의사항 (0) | 2022.08.24 |
댓글